방문자수오늘75   어제137  최대2,063  전체 371,902

아래 파(派)와 사적지를 클릭하면 자세히 볼 수 있습니다.

 

* 서원, 정사, 재실

시랑공파   l   충의공파

* 신도비, 정여

시랑공파   l   충의공파

* 묘 소

시랑공파   l   충의공파

 

 l 서원·정사·재실 (충의공파)

남강서원

충렬사

추원당

경모재

영모재

부윤공파 재실

선무랑공2파 재실

 

본문

충렬사(忠烈祠)

   *3世 금자광록대부(金紫光祿大夫) 중서평장사(中書平章事) 충렬(忠烈) 휘방실(諱芳實)의 사우(祠宇)

   *소재지: 경기도 가평군 가평읍 하색리 산81

 

<충열사(忠烈祠) 상량문(上樑文)>

 

*1)위열(偉烈)을 일방(一邦)에 떨쳤으니 *2)천재(千載)*3)죽백(竹帛)이 바뀔 바 없고 추모(追慕)를 백세(百世)에 붙이니 수간(數間)의 *4)동우(棟宇)가 없을 수 없도다. 복념(伏念)컨대 아조(我祖) 충열공(忠烈公) 휘(諱) 방실(芳實)은 두봉(兜峰)의 정기(精氣)를 타고 나서 고려(高麗)의 명신(名臣)이 되었도다.

 

충목왕(忠穆王)이 세자(世子)로 입원시(入元時) 호종(扈從)한 공로(功勞)로 즉위(卽位)함에 수노(酬勞)의 은전(恩典)으로 중랑장(中郞將)이 되고, 의병(義兵)을 용주(龍州)에서 일으키어 적괴(賊魁)를 섬멸(殲滅)하는 수훈(殊勳)을 세우고, *5)청구(靑邱)가 홍건적(紅巾賊)에 짓밟혀서 인민(人民)이 어육(魚肉)되고 넘어진 500年의 종사(宗社)를, 바로잡아 수(數)많은 백성(百姓)들을 사지(死地)에서 건져냄은 *6)3원수(三元帥)의 장열(壯烈)하신 충절(忠節)이 아닌가. 옥대(玉帶)와 옥영(玉纓)의 총사(寵賜)를 받으심은 고려사(高麗史)에 소재(昭載)되었고 숭의전(崇義殿)에 배향(配享)함은 *7)성대(聖代)의 랑음(琅音)이 내리심이라, 600세(歲)의 지난 자취 어제 같으니 천만년(千萬年) 뒤에라도 이제를 보는 듯 하리라,

 

공론(公論)이 불민(不泯)하여 중서평장정사(中書平章政事) 안우(安祐)는 *8)조곡서원(早谷書院)에 향사(享祀)하고 정당문학(政堂文學) 김득배(金得培)는 *9)충의사(忠毅祠)에 영식(永食)하거늘 하물며 공(公)께서는 영면(永眠)하신, 이 고장에 어찌 홀로 담모(膽慕)하는 유당(遺堂)이 없으리요, 한강(寒岡) 정구(鄭逑)의 함주지(咸州誌)와 간송(澗松) 조임도(趙任道)의 전신록(傳信錄)의 편수(篇首)에 올랐은나 고가(古家)가 *10)영체(零替)한 탓이로다.

 

*11)세시복납(歲時伏臘)에는 언제나 구노(舊老)의 추상(追傷)만이 일고 춘로추상(春露秋霜)에는 *12)잔손(孱孫)의 감회(感懷)만 더할 뿐이더니 다행(多幸)히 시운(時運)의 평화(平和)를 만나서 애연(藹然)히 화수(花樹)의 당(堂)에 협의(叶議)되어 향화(香火)의 실(室)을 짓게 되었네, 신지(新址)를 가평(加平) *13)능곡(陵谷) 유택(幽宅) 묘하(墓下)에 잡으니 묘향준령(妙香俊嶺)을 *14)일발지간(一髮之間)에 등지고 *15)천작(天作)을 인(因)하여 담장을 이루니, *16)수중방장(數重方丈)은 병풍(屛風)을 두른 듯 비스듬이 *17)석담청금(石潭淸襟)을 안고 남이(南怡)섬 푸른 물은 티없이 맑은데 멀리는 *18)운산(雲山) *19)창취(蒼翠)*20)층봉(層峯)을 이루었네, 지형(地形)을 따라 터를 다듬고 *21)농극(農隙)을 타서 일을 하니 화동려옥(華棟麗屋)은 규제(規制)가 헌칠하고 *22)초석사면(礎石四面)은 경영(經營)이 *23)굉위(宏偉)하다.

 

높이는 와룡암(臥龍菴) 같고 아름답기는 수양묘(睢陽廟) 같네 일주사면(一州四面)의 장(壯)을 차지하고 천재(千載)에 북공(北控)의 충(忠)을 본 받았네, 삼문(三門)을 여니 사림(士林)이 주선(周旋)하고 서계(西階)를 다듬으니 *24)변두(籩豆)가 청결(淸潔)하도다. 묘향준령(妙香俊嶺)이 하늘 아래 드높으니 멀리 공(公)의 마음을 천년(千年) 위로 거슬러 상상(想想)케 하도다. 고금(古今)이 때가 다르다 말하지 말라 공(公)의 영채(英彩)가 지금(至今)까지 빛나도다.

 

복원(伏願) 하옵건대 상량(上樑)한 뒤에 *26추사(追思)가 심독(深篤)하고 *27)여론동기(與論同歸)하여 때가 고금(古今)이 없이 유공필식(有功必食)하는 이치(理致)를 알아서 *28)시종여일(始終如一)하게 숭덕불망(崇德不忘) 하오리이다.

 

1986年 병인(丙寅) 8月31日

 

문화공보부장관(文化公報部長官) 충열공(忠烈公) 방후손(傍後孫) 이원홍(李元洪) 근찬(謹撰)

 

 

 

 

 

*1)위열(偉烈): 위대(偉大)한 공적(功績).  위대(偉大)한 공로(功勞)를 남긴 사람

*2)천재(千載): 천세(千歲)= 천 년이나 되는 세월(歲月), 천재(千載), 천사(千祀). 천추만세(千秋萬歲)

*3)죽백(竹帛): 서적(書鏑)이나 사기(史記)를 달리 이르는 말

*4)동우(棟宇): 집의 마룻대와 추녀 끝

*5)청구(靑邱): 지난날 중국(中國)에서 "우리나라"를 달리 이르던 말

*6)3원수(三元帥): 안우(安祐), 김득배(金得培), 이방실(李芳實)

*7)성대(聖代): 성세(聖世)= 뛰어난 임금이 다스리는 세상(世上). 또는 그 시대(時代)를 높이어 일컫는 말

*8)조곡서원(早谷書院): 안우 장군이 제향(祭享)된 사당으로 소재지: 경북 경산시 남산면 조곡리

*9)충의사(忠毅祠); 김득배 장군이 제향(祭享)된 사당으로 소재지: 경북 김천시 어모면 구례리(여남)

*10)영체(零替): 권세(權勢)나 살림이 줄어서 보잘것없이 됨

*11)세시복납(歲時伏臘): 설과 삼복(三伏)과 납향(臘享)=납일(臘日)에 그 한 해 동안 지은 농사(農事) 형편(形便)과 그 밖의 일을 여러 신(神)에게 고하는 제사

*12)잔손(孱孫): 잔약(孱弱: 가냘프고 아주 약(弱)함)한 자손(子孫

*13)능곡(陵谷): 경기도(京畿道) 가평군(加平郡) 가평읍(加平邑) 하색리(下色里) 진동(榛洞)

*14)일발(一髮): 한 가닥의 머리털, 극(極)히 작음

*15)천작(天作): 사람의 힘을 가(加)하지 않고 저절로 됨. 또는, 그 사물(事物)

*16)방장(方丈): 동해(東海)에 있다고도 하며 지리산(智異山)이 그것이라고도 하는 삼신산의 하나. 화상(和尙), 국사(國師), 주실 등(等) 높은 승려(僧侶)의 처소(處所). 한 절을 주장(主將)하는 승려(僧侶).

*17)석담(石潭): 바위가 깊게 움푹 패어 물이 맑게 괸 소(沼)

*18)운산(雲山): 구름 낀 먼 산. 평안북도(平安北道) 우산군의 군청(郡廳) 소재지(所在地). 청진강의 지류(支流)와 구룡강의 상류(上流)에 있어서 농산물(農産物)의 집산지(集散地).

*19)창취(蒼翠): (나무 따위가)싱싱하게 푸름

*20)층봉(層峯): 첩첩이 쌓인 높고 낮은 산봉우리

*21)농극(農隙): 농사(農事)의 여가(餘暇)

*22)초석(礎石): 주춧돌. 기둥 밑에 기초로 받쳐 놓은 돌

*23)굉위(宏偉): 크고 넓고 훌륭하고 위대하다

*24)변(籩): 제기(祭器) 이름. 변(대오리를 결어서 만든 과실을 담는 제기(祭器)

*25)두(豆)(콩. 제기(祭器). 제수(祭需): 제사에 드는 여러 가지 재료. 너 되 들이의 용기(用器). 술 그릇. 식기

*26)추사(追思): 추념(追念>지나간 일을 돌이켜 생각함. 죽은 이를 생각함

*27)동귀(同歸): 귀착(歸着點)이 같음. 함께 돌아감

*28)시종여일(始終如一): 처음이나 나중이 한결같아서 변(變)함 없음

 

 a38302fed45ee91557e78de756e3afdb_1556247106_9968.jpg

a38302fed45ee91557e78de756e3afdb_1556247107_7929.jpg

a38302fed45ee91557e78de756e3afdb_1556247108_4545.jpg

a38302fed45ee91557e78de756e3afdb_1556247109_4317.jpg


a38302fed45ee91557e78de756e3afdb_1556247110_0977.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