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문자수오늘80   어제137  최대2,063  전체 371,907

아래 파(派)와 사적지를 클릭하면 자세히 볼 수 있습니다.

 

* 서원, 정사, 재실

시랑공파   l   충의공파

* 신도비, 정여

시랑공파   l   충의공파

* 묘 소

시랑공파   l   충의공파

 

 l 신도비, 정여 (시랑공파)

보본단

선조추모비

뿌리공원 연원비

8세 대사성 창강 휘미 신도비

9세 대사헌 매헌 휘인형

9세 통훈대부 남원부사 행헌 휘의형

9세 목사 오헌 휘예형 누대제단비

10세 생원 휘혁 배의인선산김씨 정여

12세 고원군수 신천재 휘응성

12세 병조참판 송암 휘복 신도비

13세 자헌대부 병조판서 운포 휘달 신도비

 

본문

뿌리공원 연원비(淵源碑)

   *소재지: 대전시 중구 뿌리공원로 79 (침산동)

 

<함안이씨(咸安李氏)의 연원(淵源)>

 

함안이씨(咸安李氏)는 고려 고종조(서기1213-1259)에 광록대부에 오르고 공을 세워 파산군(巴山君)에 수봉(受封)되신 상(尙)을 시조(始祖)로 받든다. 파산은 경상남도 함안군의 옛 군명(郡名)으로 후손들은 시조의 봉군지(封君地)인 함안을 관향(貫鄕)으로 삼고 대대로 세거(世居)하게 되었다.

 

파산군의 두 아들인 2세 문하시랑평장사 청(淸)과 판도판서 충의공 원(源) 형제, 3세 문하시중 홍(弘)과 상장군 원수 중서평장정사 충렬공(忠烈公) 방실(芳實) 종형제분이 함안이씨의 현달(賢達)의 문(門)을 여셨다.

 

특히 충렬공은 1361년(공민왕10년) 20여만명의 홍건적이 침입하여 수도인 개경이 함락되고 왕이 안동으로 피난하자, 다음해 도지휘사로서 적을 압록강 밖으로 몰아내는 등 여러 차례 나라를 위기로부터 구하신 구국(救國)의 명장(名將)으로, 고려조 왕들의 사당(祠堂)인 경기도 연천군 숭의전(崇義殿)에 배향(配享)된, 고려 500년 사직(社稷)을 지킨 16공신(功臣) 중의 한 분이시다.

 

조선 세조 때 대사성(大司成)을 지내신 8세 미(美)는 고향인 진주군 동면 가좌촌리 진동 월아산 아래에 용두정(龍頭亭)을 짓고 "육영일문 현재배출"의 기치 하에 배움에 불타는 학동들과 네 아들(仁亨, 義亨, 禮亨, 智亨)의 정훈(庭訓)에 힘써 “오부자 육급제”를 이루니 성종께서 진동에 가좌촌(佳佐村)이라는 마을 이름을 하사하셨다.

 

또한 사재감부정을 지내시고 이조참판에 추증(追贈)되신 8세 계통(季通)은 순충보조공신 함성군(咸城君)에 추봉(追封)되셨고, 그의 아들 9세 세응(世應)은 중종조에 분의정국공신이 되시고, 이조참판과 4도의 관찰사 등 많은 벼슬을 거친 후 함안군(咸安君)에 수봉되시고 자헌대부 이조판서에 증직되셨다.

 

이처럼 한 문중(門中)에서 3대가 ‘君’에 봉(封)해진 것은 아주 드문 일로써 함안이씨를 명문가 반열에 확고히 올리게 하였다. 인형의 아들 10세 령(翎, 홍문관수찬, 號 惺齋)은 훈구파의 부당함을 상소하다 죽임을 당하여 기묘사화의 명현이 되셨으며,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12세 응성(應星, 의형의 증손 號 新川齊, 고원군수)은 창의하여 대공을 세우고 가선대부 병조참판으로 추증되셨으며, 13세 달(達, 의형의 현손, 號 雲圃, 동지중추부사) 역시 창의하여 진주성 방어에 참가하는 등 많은 전공을 세우고 여러 벼슬을 거친 후 자헌대부 병조참판서에 증직 되셨다.

 

이러한 조상님들의 높은 충직성을 본받고 자부심을 갖기 바라는 마음에서 다 같이 뜻을 모아 이 조형물을 건립한다.

 

2016년 03월

咸 安 李 氏 宗 親 會

 

ec8469057234f22105080965e721e3a5_1555569264_0879.jpg

ec8469057234f22105080965e721e3a5_1555569264_8057.jpg

ec8469057234f22105080965e721e3a5_1555569265_4745.jpg


ec8469057234f22105080965e721e3a5_1555569266_164.jpg